R 시각화
R의장점
• 간단한 명령으로 보기 좋은 그래프를 작성할 수 있다.
• 그래프의 사용자화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 저수준 작도함수로 완성된 그래프에 도형이나 문자를 추가할 수 있다.
- 전용 패키지를 이용하여 사용자화 할 수 있다.
• 복잡한 그래프나 입체적인 그래프도 간단히 그릴 수 있다.
•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기본관리와 주요 관련함수에 대해서만 소개합니다.
1. 그래픽 장치 관리
그래픽 함수의 결과는 객체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래픽 장치(device)로 전해져 표현된다. 이러한 그래픽 장치로는 그래픽을 그리는 창(windows)이나 그래픽 파일이 있다.
그래픽 함수가 수행된 후 그래픽 장치가 없을 때는 그래픽 창을 열고 그 위에 그래픽을 표현한다.
∙ 그래픽 장치 열기
- 그래픽 창을 여는 함수: x11(), windows()
- 그래픽 파일을 여는 함수: postscript(), pdf(), png(), jpeg(), bmp(), bitmap()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콘솔에서 “?device”를 수행하면 현재 가용한 그래픽 창 혹은 그래픽 파일을 볼 수 있다.
∙ 그래픽 관리 함수
- dev.new() : 새 그래픽 장치를 연다.
- dev.list() : 현재 사용 중인 그래픽 장치들을 보여준다.
- dev.set(n) : 그래픽 장치의 번호를 활성화 한다.
- dev.cur() : 현재 활성화된 그래픽 장치의 번호를 보여준다.
- dev.off(n) : 그래픽 장치 n을 닫는다. n을 생략하면 현재 그래픽 장치를 닫는다.
R에서는 그래픽스를 특수한 그래픽을 작성하는 함수와 주어진 그래픽의 점, 선, 색상, 문자, 좌표축, 범례 등 다양한 세부적인 속성을 조정하는 함수가 있다. 전자를 고수준 그래픽 함수라 하고 후자를 저수준 그래픽 함수라 부른다.
2 시각화
하나의 완성된 그래프를 그려주는 함수다. 고수준 함수를 실행하면 자동적으로 작도 디바이스가 실행되어 윈도우에 그래프가 표시된다. 고수준 작도함수로 작성할 수 있는 그래프 목록은 아래와 같다.
시각화 함수
함수 | 기능 |
plot(벡터) | 1차원 산점도 |
plot(벡터, 벡터) | 2차원 산점도 |
barplot(빈도값 벡터) | 막대그래프(범주형 빈도 그래프) |
hist(벡터) | 히스토그램(연속형 빈도 그래프) |
pie(빈도값 값벡터) | 원 그래프 |
boxplot(벡터) | 상자그림 |
mosiacplot(행렬) | 분할표 그림 |
stars(행렬) | 스타챠트 |
pairs(행렬) | 쌍별 산포도 |
curve(함수, 좌단, 우단) | 1차원 함수 그래프 |
persp(x축 자료, y축 자료, z축 자료) | 2차원 함수 그래프 |
1.함수 plot()
R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고수준 작도함수는 plot() 이다. 이 함수는 가장 기본적이고 기능이 많은 함수로서 산점도나 꺽은 선 그래프 등을 그린다.
≪plot()의 인수들≫
① 제목과 레이블 | |
인수 | 기능 |
main = '제목' | 그래픽의 제목을 상단에 출력 |
sub = '부제목' | 그래픽의 부제목을 제목 아래에 출력 |
xlab = '레이블' | x-축의 레이블을 출력 |
ylab = '레이블' | y-축의 레이블을 출력 |
ann = FALSE | 축의 레이블을 표시하지 않음.(xlab='', ylab=''과 같은 효과) |
tmag = 숫자 | 제목 등의 문자의 확대율을 지정한다. |
cex = 1 | 마커의 크기를 지정한다. |
lwd = 1 | 선의 두께를 지정한다. |
bg = 'white' | 배경색을 지정한다. |
las = 0 | 0: 축의 레이블을 축과 나란히 그린다. |
1: 축의 레이블을 모두 수평으로 그린다. | |
2: 축의 레이블을 축에 대해 수직으로 그린다. | |
3: 축의 레이블을 모두 수직으로 그린다. |
② 축의 종류 | |
인수 | 기능 |
log = 'x', 'y', '' | 순서대로, x-축, y-축, 양축에 로그를 취한다. |
xlim = c(a, b) | x-축의 범위의 (a,b) 사이로 지정 |
ylim = c(a, b) | y-축의 범위의 (a,b) 사이로 지정 |
axes = FALSE | 축의 생성을 억제한다. |
④ 플롯할 마커의 종류(point character) | |||
인수 pch | 마커 | 인수 pch | 마커 |
pch = 0 | pch = 13 | ⊗ | |
pch = 1 | ○ | pch = 14 | ⍌ |
pch = 2 | △ | pch = 15 | ■ |
pch = 3 | + | pch = 16 | ● |
pch = 4 | × | pch = 17 | ▲ |
pch = 5 | ◇ | pch = 18 | ◆ |
pch = 6 | ▽ | pch = 19 | ● |
pch = 7 | ⊠ | pch = 20 | • |
pch = 8 | * | pch = 21 | ○ |
pch = 9 | plus diamond | pch = 22 | □ |
pch = 10 | ⊕ | pch = 23 | ◇ |
pch = 11 | pch = 24 | △ | |
pch = 12 | ⊞ | pch = 25 | ▽ |
pch = '문자' | 주어진 문자를 마커로 사용. | pch > 25 | 대응하는 ASCII 문자 |
⑥ 플롯할 마커와 선의 색상(color) | |
인수 col | 기능 |
col = 1 혹은 'black' | 검정 |
col = 2 혹은 'red' | 빨강 |
col = 3 혹은 'green' | 초록 |
col = 4 혹은 'blue' | 파랑 |
col = 5 혹은 'cyan' | 사이언 |
col = 6 혹은 'magenta' | 마젠타 |
col = 7 혹은 'yellow' | 노랑 |
col = 8 혹은 'gray' | 회색 |
추천
R 시각화 - 2(산점도 그래프)
1. 산점도 그리기 다음 표는 10명의 체중(weight)와 신장(height) 자료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자료를 1차원 산점도 표시 자료번호 1 2 3 4 5 6 7 8 9 10 체중(kg) 50 48 55 45 78 47 72 60 68 54 신장(cm) 170 168..
dasoni1004.com
R 시각화 - 3(커브그래프)
1차원 함수 그래프 그리기 함수 plot은 x의 함수 f(x)를 그리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y=f(x)를 그리는데 두 가지 방식을 사용 • plot(x,y) : x 벡터와 y 벡터 이용 • plot(f, x의 하한, x의 상한
dasoni1004.com
'study > R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시각화 - 3(커브그래프) (0) | 2021.01.17 |
---|---|
R 시각화 - 2(산점도 그래프) (0) | 2021.01.16 |
기초 R 4 (0) | 2021.01.14 |
기초 R 3 (0) | 2021.01.12 |
기초 R 2 (0) | 2021.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