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R 4
자료 파일의 입출력 1. 데이터 프레임의 입출력 [1] write.table()과 read.table() 데이터프레임이나 행렬을 txt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① 데이터프레임의 파일 저장 우선 mydata라는 데이터프레임을 다음과 같이 만들자. > id=c(1,2,3,4,5) > sex=c('남', '여', '남', '남', '여' ) > height=c(180, 160, 175, 170, 155) > weight=c(85, 50, 65, 70, 44) > mydata=data.frame(id, sex, height, weight) #데이터프레임 mydata 생성 > mydata id sex height weight 1 1 남 180 85 2 2 여 160 50 3 3 남 175 65 4 4 남 170..
2021. 1. 14.
기초 R 3
6. 행렬 [1] 자료 벡터 이용하기 길이가 같은 벡터들을 쌓거나 이어 붙여서 행렬을 만든다. • cbind: 벡터들을 이어 붙여서 행렬을 만듦. • rbind: 벡터들을 아래로 쌓아서 행렬을 만듦. cbind() 함수를 이용 > c1=c(1,2,3) #길이 3인 벡터> c2=c(4,5,6) #길이 3인 벡터 > c3=c(7,8,9) #길이 3인 벡터 > mat1=cbind(c1,c2) #옆으로 이어 붙여서 행렬 생성 > mat1 c1 c2 [1,] 1 4 [2,] 2 5 [3,] 3 6 rbind() 함수를 이용 > mat2=rbind(c2,c3) #아래로 쌓아서 행렬 생성 > mat2 [,1] [,2] [,3] c2 4 5 6 c3 7 8 9 행렬의 몇 가지 속성들 • 자료의 유형: mode • 차원..
2021. 1. 12.
기초 R 2
1.벡터(vector) 자료 [1] c() 함수 이용 R에서 기본적인 방법은 함수 “c()”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함수의 괄호 내에 자료를 나열함으로써 자료를 생성 c(자료 나열) > x=c(1, 3, 0.5, 5) #수치 자료 벡터 > x [1] 1.0 3.0 0.5 5.0 > s=c('Kim', 'Lee', 'Park') #문자 자료 벡터 > s [1] "Kim" "Lee" "Park" 변수 x에는 수치 자료만, 변수 s에는 문자열 자료를 생성하여 할당 > x=c(1,3,0.5,5) > c(x, c(0,1)) [1] 1.0 3.0 0.5 5.0 0.0 1.0 > s=c(s, 'Choi', 'Lee') > s [1] "Kim" "Lee" "Park" "Choi" "Lee" 원소의 이름과 함께 입력하고..
2021.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