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차원 그래픽
3차원 그래픽스로 고수준 그래픽스 함수인 persp()와 contour()의 사용법을 다룬다. persp()는 2차원 함수 를 그려주며, contour()는 의 등고선을 그려준다.
1. persp()
persp()의 기본 사용형식은
persp(x, y, z)
여기서 x와 y는 x축과 y축을 표시하는 좌표 벡터이고, z는 함수 outer()에 의해 생성된 (x, y) 격자점에 대응한 f(x,y) 값을 나타낸다.
간단히 2변량 표준화 정규분포함수
를 그려보자.
> x=y=seq(-4,4,by=0.1) #x, y 축의 구간
> f=function(x,y){1/(2*pi)* exp(-(x^2+y^2)/2)} #f(x,y) 정의
> z=outer(x,y,f) #(x, y) 격자점에 대응한 f(x,y) 값
> windows()
> persp(x,y,z) #기본 persp()
#옵션을 사용한 persp()
> windows()
> persp(x,y,z, theta=60, phi=30, expand=0.5,col='lightblue', border=NA, shade=0.5, ltheta=30)
persp()의 사용형식 | |
형식 | 기능 |
persp(x, y, z) | x : x 좌표점 벡터 y: y 좌표점 벡터 z : outer(x,y,f)에 의해 생성된 f(x,y)의 반응값. <옵션> border='색깔' : 그물망의 색을 지정한다. NA는 그물망 제거. col='색깔' : 3차원 그래프의 색깔 theta=각도 : 방위각 phi=각도 : 앙각 expend=수치 : [0,1] 사이 값으로 지정하여 z축의 높이 비율을 설정한다. shade=수치 : [0, 1] 사이값으로 그림자의 농도를 지정한다. ltheta=각도 : 광원의 방위각을 지정한다. lphi=각도 : 광원의 앙각을 지정한다. box=TRUE : FALSE 이면 박스로 제거한다. scale=TRUE : FALSE로 지정하면 축의 비율을 자동조정하지 않는다. axes=TRUE : FALSE이면 축을 그리지 않는다. xlim, ylim, zlim : 각 축의 범위를 지정한다. xlab, ylab, zlab : 가축의 레이블을 지정한다. |
2. contour()
contour()은 2차원 함수 의 등고선을 그려준다. plot()과 유사하게 인수로서 col, lty, lwd를 사용할 수 있다.
2변량 표준화 정규분포함수
,
를 그려보자.
> x=y=seq(-4,4,by=0.1) #x, y 축의 구간
> f=function(x,y){1/(2*pi)* exp(-(x^2+y^2)/2)} #f(x,y) 정의
> z=outer(x,y,f) #(x, y) 격자점에 대응한 f(x,y) 값
> windows()
> contour(z) #기본 contour() 플롯
추천
R 시각화 - 7
다변량 데이터 그리기 변수가 여러 개인 데이터셋을 시각적으로 전체적 경향을 쉽게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작도법이 있다. 여기서는 pairs()과 stars() 두 가지만을 소개한다. 1. pairs() pairs(수치행
dasoni1004.com
R 시각화 - 5 (points()등)
작도 함수들 함수 기능 points() 점 그리기 추가 lines() 선 그리기 추가 abline() 지정된 직선 그리기 추가 segment() 선분 그리기 추가 arrows() 화살표 그리기 추가 rect() 사각형 그리기 추가 text() 테두리..
dasoni1004.com
반응형
'study > R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시각화 - 7 (0) | 2021.01.19 |
---|---|
R 시각화 - 5 (points()등) (0) | 2021.01.18 |
R 시각화 - 4 ( barplot(), hist(), pie() ) (0) | 2021.01.18 |
R 시각화 - 3(커브그래프) (0) | 2021.01.17 |
R 시각화 - 2(산점도 그래프) (0) | 2021.01.16 |